다른 교실 이야기/Literature review

2022 개정 교육과정 Review

gongchemi 2023. 3. 3. 21: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 사이트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 문서를 내려받을 수 있다.

http://ncic.re.kr/

 

NCIC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

 

ncic.re.kr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24년 초등학교 1, 2학년을 시작으로,

2025년에 초등학교 3,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2026년에 초등학교 5, 6학년, 중학교 2학년, 고등학교 2학년,

2027년에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3학년으로 순차 적용될 예정이다.

 

홍보 리플렛을 살펴보았을 때 가장 큰 변화는 고교학점제빅데이터·AI를 활용한 교수·학습 및 평가 활동 지원 부분이었다.

 

지금부터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핵심 아이디어'의 등장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쓰였던 '핵심 개념'이라는 용어가 '핵심 아이디어'로 바뀌었다. IB 교육과정의 '빅 아이디어' 개념과 유사해보인다. '초점을 부여'한다는 점에서는 '개념적 렌즈'가 떠오른다.

핵심 아이디어: 영역을 아우르면서 해당 영역의 학습을 통해 일반화할 수 있는 내용을 핵심적으로 진술한 것. 이는 해당 영역 학습의 초점을 부여하여 깊이 있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됨

 

  • '역량'에 대한 기술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함양해야할 역량을 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6가지로 제시하고,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을 과학적 력, 과학적  능력, 과학적 제 해결력, 과학적 사소통 능력, 과학적 여와 생학습 능력의 5가지로 제시하며 '역량'의 의미를 귀납적으로 추론하도록 했던 것과는 달리,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드디어! '그래서 역량이 뭔데?'에 대한 답을 구체적으로 적어놓았다.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가 복합적으로 발현되어 나타나는 총체적인 능력인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 지식·이해: 교과(목) 및 학년(군)별로 해당 영역에서 알고 이해해야 할 내용
- 과정·기능: 교과 고유의 사고 및 탐구 과정 또는 기능
- 가치·태도: 교과 활동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고유한 가치와 태도

 

  • 과목 체계의 변화
  2015 개정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비고
공통 교육과정 과학 과학 변화 없음
선택 중심 교육과정  공통 과목 통합과학 통합과학1, 통합과학2  
과학탐구실험 과학탐구실험1, 과학탐구실험2  
일반 선택 과목 물리학 물리학  
화학Ⅰ 화학  
생명과학Ⅰ 생명과학  
지구과학Ⅰ 지구과학  
진로 선택 과목 물리학 역학과 에너지
전자기와 양자
 
화학Ⅱ 물질과 에너지
화학 반응의 세계
 
생명과학Ⅱ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
 
지구과학Ⅱ 지구시스템과학
행성우주과학
 
융합 선택 과목*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
과학의 역사와 문화
기후변화와 환경생태
융합과학 탐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진로 선택 과목'으로 분류되었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융합 선택 과목'이라는 용어로 새롭게 분류함
과학 계열 선택 과목 교육과정** 진로 선택 과목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
융합과학 탐구
과학과제 연구
생태와 환경
정보과학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과학과제 연구
정보과학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의 선택 중심 교육과정 -전문 교과Ⅰ로 분류하였으나,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 계열 선택 과목 교육과정'으로 명칭이 변경되고 진로 선택 과목과 융합 선택 과목으로 나눔
융합 선택 과목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지구과학 실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