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에서 감압 장치는 보통 '여과' 과정에서 빈번하게 쓰인다. 대학교 실험 수업 때 뷰흐너 깔때기를 이용한 감압 실험 과정을 경험해 본 기억이 있다. 그 때 항상 호스로 연결된 수도의 밸브를 열어서 물이 흐르도록 했어야 했는데, 왜 그렇게 해야하는지 모른 채 그렇게 해야하니까 그냥 했다. 감압시켜주는 장치를 Aspirator 아스피레이터라고 하고, 모터를 사용하거나 물을 사용하는 두 가지 방법이 대표적이다. 모터 방식은 직접적으로 공기를 빼서 감압시켜주는 방식이라면(아보가드로 법칙; 몰 수의 감소 -> 압력의 감소) 물을 사용하는 방식은 물의 흐름을 이용해 감압시켜줄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의 원리가 잘 이해되지 않아 구글링을 해보았다. '감압 시 물을 흘려주는 이유' -> 안 나옴 '감압 여과 원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