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기반교육과정 2

03.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3) - 지식과 과정의 구조

우리 아이들이 살아갈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잘 살아갈 수 있을까?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강조했듯이 아이들이 살아갈 미래 사회에서는 지식을 많이 아는 것보다 지식과 사실을 토대로 사고하고 비판하고 통합하는 등의 '역량'이 더 중요하다. 따라서 사회에 나가기 전 사회에서 필요한 것들을 배우는 학교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지식과 사실들을 바탕으로 스스로 사고하고 이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계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사실과 지식으로부터 개념과 일반화까지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구조적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Erickson의 지식의 구조이다. 지식의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사실, 소재, 개념, 일반화, 원리, 이론이다. 이어지는 지식의 구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각하..

01. 개념기반 교육과정과 수업(1)

어느덧 교직에 들어선지 6년차가 되었다. 올해로 서른이 되어서인지, 아니면 새로운 환경에 노출되어서인지는 몰라도 공부와 수업에 대해 생각하게 되는 요즘이다. 중학교에 있던 4년동안 가장 즐거웠던 교실 장면을 떠올려보면 자유학기제를 명분으로 내가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대로, 예를 들면 음식으로 세포 모형 만들기, 라면 끓이며 대류 현상 관찰하기 등 배워야 할 내용은 조금만 곁들이고 아이들의 활동이 주가 되거나 아이들의 니즈가 많이 반영되었을 때, 그리고 유독 학구열이 높은 아이들을 만나 허를 찌르는 질문에 허덕이면서도 아이들이랑 답을 알아가는 과정이 즐거웠던 때가 떠오른다. 그 이후의 2년은 인터넷 검색만 하면 다 나오는 지식들을 왜 내가 앵무새처럼 교실에서 반복해야 하는지, 21세기에는 지식이 아닌 다른..